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란?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아직 생소하게 들리는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요. 요즘 잘 찾아보면 우리가 마땅히 돌려받아야 할 환급금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국세환급금, 통신비 환급금, 건강보험 환급금, 국민연금 환급금 등 많은 환급금이 존재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 자동차 채권 환급금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란?

자동차 채권 환급금으로 쌓여 있는 금액이 약 4조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차량을 구입하고 5년이 지나면 환급금이 발생합니다. 차량을 구매할 때 자동차를 등록하게 되는데 이 때 차량을 구매한 지역에 등록이 되면서 자동으로 구입되는 채권입니다. 신차를 사거나 중고차를 사거나 팔 때 도시철도채권이나 지역개발채권을 구매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지역개발채권은 지역주민의 복리 증진, 지역개발사업 자금조달을 위해서 지자체가 발행하는 것으로  등록지역과 자동차 배기량에 따라서 채권 종류와 비율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서 배기량이 2000cc인 차량을 서울지역에서 구매한다면 서울은 차량가액에서 12%, 대전은 4%의 채권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합니다. 

이 채권은 5년이 지나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 동안은 자동차 채권을 환급받기 위해서 금융기관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수고를 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2022년 3월부터는 환급받기 위해서는 간편하게 은행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서 자동차 환급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 인천: 신한은행

부산: 부산은행

대전, 세종: 하나은행

광주: 광주은행

전북: 전북은행

대구: 대구은행

이 외 지역: 농협은행

 

신한은행은 신한 쏠 어플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공과금 -> 공채업무 를 통해서 로그인 후 조회가 가능합니다. 

 

 

농협은행에서 자동차 채권을 환급받기 위해서는 농협은행 사이트에 접속한 후 공과금 -> 지역개발채권 -> 미상환 채권조회를 선택하면 됩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방법은 각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합니다.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환급금을 조회합니다. 해당 환급금이 있으면 환급금을 선택하고 환급정보를 입력하고 신청합니다. 

 

 

본인이 자동차 채권 환급금의 존재여부를 잘 모른다면 해당 지역 은행사이트에 접속하여 조회를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음달 부터는 신규로 매입 지역개발채권은 채권 만료일을 모르더라도 채권 매입당시에 지정했던 계좌로 자동으로 입금이 되도록 개선이 된다고 합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채권소멸 시효가 경과되어도 환급금을 챙겨가지 못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서 자동상환을 신청하여 만기일에 매입자가 환급을 받을 수 있도록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