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환급금 확인하고 지금 바로 찾아가세요

 

 

요즘 코로나로 경기가 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가계 경제에도 많은 타격을 받고 있는데요. 정부에서는 어려움에 보탬이 되고자 긴급재난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긴급재난지원금 이외에도 찾아보면 다양한 환급정책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과납부되거나 중복으로 납부된 경우 다시 돌려받을 수 있는 환급금으로 간단하게 조회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미환급금에 종류에는 지방세, 국세, 통신, 건강보험, 국민연금 보험료, 고용, 산재보험, 유료방송 미환급금 등이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잠들어있는 미환급금을 돌려주기 위해서 지방세미환급금 찾아주기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올해 6월을 기준으로 지방세 미환급금 건수는 49만건으로 금액으로 보면 404억원에 달하는 큰 규모입니다. 

지방세 환급금은 왜 생기는 걸까요? 지방소득세 환급금은 원천징수 등으로 납부한 세금이 납부해야 할 세액보다 많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환급받을 납세자가 환급금을 제때 받지 못하거나 환급통지서를 받고도 수령하지 않은 경우 국고에 쌓여있게 됩니다. 또한 직장을 다니다가 퇴사한 경우 자동으로 이체되던 세금이 이중으로 납부되는 경우가 있으며 자동차를 매매하거나 폐차한 경우 과세 대상의 차량이 없지만 세금이 잘못 부과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환급금은 환급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시기부터 5년이 경과 한 시기까지 수령이 가능합니다. 기한이 지난 후 에는 수령이 불가하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고 찾아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방세환급금은 간단하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를 통해서 바로 지방세 환급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미환급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민원24를 통해서 환급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민원24 사이트에서는 지방세환급금 바로가기 뿐만 아니라 다른 환급금에 대해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방세 환급금 조회 후에 환급금이 존재할 경우에는 납세자 본인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 한 후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환급을 신청하면 대부분 7일 이내에 신청한 본인 계좌로 입금처리가 됩니다. 

 

▶▶ 다른 미환급금 더 알아보기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분들은 전화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금융기관을 통해서 지방세소득세 관련 부서에 신청을 하면 확인절차를 거친 후 입금처리가 진행이 됩니다. 

지방세 미환급금 조회나 신청은 절차가 어렵지 않고 쉽고 간단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한번쯤 확인해보고 환급금이 있다면 빠르게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